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ircle
- usdc
- 스테이블코인
- 암호화폐 뉴스
- 리플
- 디지털달러
- ripple
- 소프트웨어지갑
- 공산당을따르라
- 디지털 달러
- 투표조작
- 주식시장 리포트
- 디센트지갑
- USDT
- sec
- xrp
- 암호화폐송금
- 비트코인네트워크
- 암호화폐
- 개인지갑
- 조작선거
- 트래블룰
- rlusd
- 조작투표
- 하드웨어지갑
- XRP 가격
- followtheparty
- 블록체인
- 부정선거
- 암호화폐 투자
- Today
- Total
목록2025/05 (28)
돈로그(DonLog)

✅ 같은 1달러지만, 그들이 대표하는 세계는 전혀 다르다2025년 현재,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히 ‘디지털 캐시’를 넘어 글로벌 금융 질서와 패권의 흐름까지 바꾸고 있는 핵심 자산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시장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흐름은 ‘양대 진영’의 형성입니다.하나는 시장 중심, 또 하나는 규제 중심.같은 1달러이지만, 그들이 가는 길은 완전히 다릅니다.🔹 트랙 1: 실용 중심의 USDT (테더 Tether)항목내용주 사용자층개발도상국, 제3세계, OTC, P2P 시장특징빠르고 싸다 (특히 트론/TRC-20), 유동성 압도적단점회계 투명성 부족, 제재 이력, 불투명한 준비금사용처바이낸스, OKX, 비트겟, 터키·나이지리아 등 글로벌 실전 거래소 👉 실용의 달러국경 없는 송금계좌 없이 스..

어제 한국 거래소 코빗에서 USDT(테더)를 구매해 제 바이낸스 계좌로 전송했습니다. 모든 게 잘 처리되는 줄 알았는데, 바이낸스에 로그인하자마자 다음과 같은 알림이 떴습니다:“규정 준수 요구사항에 따라, 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스테이블코인은 거래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금 변환을 완료하세요.”이 메시지를 보는 순간, ‘테더가 규정에 안 맞는다고?’ 솔직히 좀 당황스러웠습니다.메시지 안내에 따라 저는 USDT를 USDC로 변환했습니다. 다행히 같은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이라 가격이나 수량에는 차이가 없었고, 클릭 몇 번으로 완료되었죠. 하지만 계속 마음에 걸렸습니다. "아니, 테더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스테이블코인인데, 왜 바이낸스에서 못 쓰게 하지?" 내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들어간 바이..

어제 저는 USDC(미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를 코빗에서 사기 위해 대기하면서, 동시에 빗썸도 켜놓고 가격을 비교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장면이 펼쳐졌어요.코빗: 1 USDC = 1,398원빗썸: 1 USDC = 1,393원무려 5원 차이. 순간 의심했어요. ‘같은 코인, 그것도 미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인데 왜 이렇게 가격이 다르지?’ 하지만 이건 단순한 오류나 문제 있는 가격이 아니었습니다. 바로 슬리피지와 스프레드, 그리고 거래소 유동성 차이 때문이었죠.🔹 스프레드(Spread)란?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 사이의 간격| 매수: 1,393원 ←→ 매도: 1,398원 | → 스프레드 = 5원. 스프레드가 크면, 거래할 때마다 자동으로 손해보는 구조가 됩니다. 유동성 낮은 거래소일수록 이 간격이 더 벌어져..

최근 리플(Ripple)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장기 소송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며, XRP 현물 ETF(Spot ETF)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SEC는 2025년 5월 8일, 뉴욕 남부지방법원에 리플과의 벌금 조정 합의 내용을 공식 제출하며 사실상 소송의 끝을 알렸습니다.이로 인해 5월 22일로 예정된 Grayscale의 XRP 현물 ETF 심사 기한도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상황 속에서도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 은 여전히 XRP 현물 ETF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 블랙록은 XRP ETF를 왜 아직 신청하지 않았나?1. 규제 불확실성SEC와 리플 간의 합의에도 불구하고, XRP의 법적 지위가 ‘증권인지 아..

암호화폐 거래를 하다 보면 자산을 이동시켜야 할 순간이 오죠.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코빗과 연계된 신한은행 계좌가 한도 계좌로 등록되어 있어서, 제가 원하는 금액의 원화 출금이 어려운 상황이었어요. 그래서 평소처럼 다음과 같은 루트를 통해 자산을 이동하려고 했습니다.코빗에서 USDT(테더)를 매수TRON 네트워크를 통해 빗썸으로 전송빗썸에서 원화로 환전국민은행 계좌로 송금몇 번 해본 방식이라 이번에도 별문제 없을 줄 알았는데, 출금 신청 직후 코빗에서 문자가 도착합니다."고객보호 시스템에 탐지되어 출금 심사 중이며, 지연 또는 거절될 수 있습니다."1시간 정도 지나도 여전히 상태는 '출금 대기'. 옆에 있는 물음표 아이콘을 눌러보니 이런 설명이 있더군요."보이스피싱 피해 방지 또는 내부 정책에 따라 최대..

2025년 5월 7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를 4.25%~4.50%로 동결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대체적인 예상과 일치하는 결정이었지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에서 언급된 내용들은 투자자들의 기대를 빗나가며 시장에 다소 실망감을 안겼습니다. 제가 들었을 때는 알맹이 없는 인터뷰 였다고 생각합니다.🔍 파월 의장의 핵심 발언 요약"지금은 금리 인하를 논의할 시점이 아니다."→ 파월 의장은 반복해서 현재 경제 상황이 금리 인하를 고려할 만큼의 진전을 보여주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불확실성이 매우 높다."→ 최근 수개월 간의 인플레이션 지표(하드 데이터)들이 예상을 상회하면서, 소비자물가와 고용 시장의 강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하드 데이터가 더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