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 XRP, 현실 속 쓰임과 한계: 우리가 기대했던 것과는 다른 그림암호화폐/블록체인 2025. 4. 13. 23:18
📘 블록체인의 현실과 미래를 묻다 – 시리즈 모아보기🔹 XRP, 우리가 기대했던 것과는 다른 그림 (현재 글)🔹 2편: 폴카닷, 미래의 연결을 준비하는 체인🔹 3편: 폴카닷 vs 코스모스 – 인터체인의 승자는?🔹 4편: DOT vs ATOM – 어디에 베팅할 것인가?XRP는 한때 ‘빠르고 저렴한 국제 송금 수단’이라는 타이틀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기관 결제, 리플사의 기술력, 글로벌 제휴 소식 등으로 인해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도 컸다.하지만 2025년 현재, 시장은 빠르게 진화했고, XRP가 내세웠던 장점들은 더 이상 독보적인 무기가 아니게 되었다.이번 글에서는 XRP의 현실적인 쓰임과 한계를 정리해본다.✅ 1. 수수료: 지나치게 저렴해서 오히려 의미 없음XRP의 네트워크 수수료는 0.0000..
-
🧾 넥소(Nexo)에 XRP 예치하는 법 – 단계별 따라하기 가이드암호화폐/리플 XRP 2025. 4. 12. 15:46
XRP 들고만 있지 마세요.넥소(Nexo)를 이용하면, 그냥 보유만 해도 연 최대 11%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5000달러 이상 예치해야 이자를 받아요)저도 직접 써보고 매일매일 XRP 이자 들어오는 걸 확인 중인데요,혹시 처음 해보는 분들을 위해 넥소에 XRP 예치하는 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Nexo에 가입하고 우리 둘 다 보너스 받자! ✅ XRP 예치하면 최대 11% 이자 ✅ 당신이 $100 이상 예치하면 👉 나와 당신 모두에게 $25 BTC 보너스 지급! 🔗 여기서 가입하고 같이 혜택 받기 ✅ 먼저 준비할 것📦 1. 넥소 계정 만들기https://nexo.com이메일 + 비밀번호로 가입보안상 2단계 인증(OTP) 설정 추천 🛡️ 2. 신원 인증 (KYC)여권, 주민등록증 등 본인 인..
-
📉 XRP 스테이킹, 국내 거래소는 안 되고 넥소(Nexo)에서는 된다?암호화폐/리플 XRP 2025. 4. 12. 15:06
요즘 XRP에 투자하는 분들이 많죠. 그런데 국내 거래소에서는 XRP를 스테이킹하거나 이자를 받을 수 없습니다.그래서 저는 **XRP 3,000개를 넥소(Nexo)**로 옮겨서 스테이킹(이자 수령) 중인데요, 실제 사용해본 경험을 바탕으로 상세히 공유드립니다.1. 국내 거래소의 한계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에서는 XRP를 단순 보유만 가능스테이킹/예치 기능 X전송하려면 거래소 고정 출금 수수료 발생 (예: 빗썸은 0.4 XRP)2. 넥소(Nexo)에서는 XRP 예치로 이자 받기 가능제가 넥소에서 XRP를 예치한 이유는 단순합니다:👉 XRP를 그냥 들고만 있어도 이자를 받을 수 있으니까요! 조건 ①: 자산 $5,000 이상XRP, BTC, 스테이블코인 등 전체 자산 총합이 $5,000 이상이면자동으로 ..
-
📉 리플넷 중심 시대, XRP는?암호화폐/리플 XRP 2025. 4. 12. 14:44
💡 리플과 XRP, 같은 듯 다른 두 존재많은 사람들이 리플(Ripple)과 XRP를 같은 것으로 생각합니다. 과거엔 실제로 리플이 XRP를 활용해 국제 송금 문제를 해결하려 했기 때문에, 두 개념이 혼용되기도 했죠.하지만 최근 리플의 움직임을 보면, XRP와의 거리두기가 점점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리플은 자신들의 공식 웹사이트와 서비스에서 XRP를 중심에서 조금씩 밀어내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리브랜딩: 리플넷 중심으로 이동최근 리플은 자사의 스테이블코인 RLUSD 발행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리플이 단순한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아닌, 글로벌 금융 인프라 회사로 성장하려는 시도입니다.이 과정에서 XRP는 어떻게 되고 있을까요?“XRP is a decentralized digital ..
-
XRP 전송하려다 수수료 3.2개 증발? 😵💫 – 빗썸 트래블룰의 불편한 진실암호화폐/리플 XRP 2025. 4. 12. 13:55
XRP는 빠르고 전송 수수료가 거의 없는 코인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리플 네트워크 수수료는 0.00001 XRP에 불과하죠.하지만 최근 빗썸에서 넥소(Nexo)로 3000 XRP를 보내면서, 저는 이 장점이 전혀 의미 없어지는 경험을 했습니다.바로 트래블룰 + 고정 출금 수수료 조합 때문이었어요. 총 3000개의 XRP를 보내는데, 무려 8번에 나눠서 전송했고, 그때마다 0.4 XRP씩 수수료가 나가면서 총 3.2 XRP가 사라졌습니다. **트래블룰(Travel Rule)**이란?국내 거래소에서 해외 거래소나 서비스(예: 바이낸스, 넥소 등)로 코인을 보낼 때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정보를 서로 공유해야 한다는 국제 자금세탁방지 규정이에요.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요?⚠️ 문제 상황 요약출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