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usdc
- 부정선거
- 하드웨어지갑
- 투표조작
- sec
- 소프트웨어지갑
- 트래블룰
- 공산당을따르라
- ripple
- 비트코인네트워크
- 디지털달러
- 조작선거
- 리플
- 암호화폐 투자
- followtheparty
- XRP 가격
- 디센트지갑
- 암호화폐 뉴스
- 조작투표
- rlusd
- 주식시장 리포트
- 블록체인
- 디지털 달러
- USDT
- xrp
- 스테이블코인
- 암호화폐
- Circle
- 개인지갑
- 암호화폐송금
Archives
- Today
- Total
돈로그(DonLog)
📌 2025년 기준 비트코인 수수료 추천표 (개인지갑용) 본문
전송 속도 | 추천 수수료 (Sats/vByte) | 대략적인 BTC 수수료 | 예상 소요 시간 |
---|---|---|---|
매우 빠름 (Fast) | 20~30 Sats/vByte | 약 0.00015 ~ 0.0002 BTC | 10분 이내 (1~2블록 안) |
보통 (Normal) | 10~20 Sats/vByte | 약 0.00008 ~ 0.00012 BTC | 10~30분 |
느림 (Slow) | 5~10 Sats/vByte | 약 0.00005 ~ 0.00008 BTC | 30분~1시간 이상 |
📌 쉽게 적용하는 팁
✅ 보통은 "Normal(10~20 Sats/vByte)"로 보내면 무난하다.
✅ 굳이 급한 전송이 아니면 "Slow(5~10 Sats/vByte)"로 세팅해도 충분히 도착한다.
✅ 다만, 주말 저녁이나 특별한 이벤트(ETF 승인, 대규모 뉴스) 때는 네트워크가 막힐 수 있으니
이때는 "Fast(20~30 Sats/vByte)"로 설정하는 게 안전하다.
📌 참고: "Sats/vByte"가 뭐야?
- "Sats"는 사토시(Satoshi)의 줄임말 → 1 Satoshi = 0.00000001 BTC
- "vByte"는 거래 데이터 크기(가상 바이트)
즉, 1 vByte당 몇 Sats를 지불할지 정하는 것이다. 수수료를 직접 설정할 때 단위로 사용한다.
📌 한 줄 요약
급하지 않으면 10~15 Sats/vByte 정도로 보내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다.
'💹 디지털 자산 & 금융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실전으로 배운 mempool.space 보는 법 + 비트코인 송금 수수료 최적화 (0) | 2025.05.01 |
---|---|
🔐 암호화폐 지갑 비교: 소프트웨어 지갑 vs 하드웨어 지갑, 어떤 게 더 안전할까? (0) | 2025.04.30 |
디센트 지갑에서 비트코인(BTC) 전송 시 수수료 조정하는 방법 (1) | 2025.04.28 |
암호화폐, 거래소에 둘 것인가? 개인지갑에 저장할 것인가? (0) | 2025.04.27 |
비트코인, 진짜 ‘디지털 금’이 됐을까? (2)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