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xrp
- usdc
- ripple
- 암호화폐 뉴스
- 디지털 달러
- 개인지갑
- XRP 가격
- 블록체인
- 스테이블코인
- 디센트지갑
- rlusd
- 조작투표
- 디지털달러
- followtheparty
- 주식시장 리포트
- 비트코인네트워크
- 소프트웨어지갑
- 암호화폐
- 조작선거
- USDT
- 부정선거
- Circle
- sec
- 하드웨어지갑
- 암호화폐송금
- 투표조작
- 리플
- 공산당을따르라
- 트래블룰
- 암호화폐 투자
- Today
- Total
목록💹 디지털 자산 & 금융 흐름 (17)
돈로그(DonLog)

요즘 암호화폐를 접하다 보면 '코인'인지 '토큰'인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이름에 코인이 들어갔다고 해서 다 코인은 아니고, 실은 기존 블록체인 위에 얹힌 '토큰'인 경우가 훨씬 많아요. 특히 USDT나 USDC 같은 스테이블코인은 이름은 같아도 체인마다 전혀 다른 자산이라는 걸 아시나요? 오늘은 이 기본 개념을 꼭 한 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읽고 나면, 지갑 간 전송 실수도 막을 수 있어요.✅ 코인과 토큰의 가장 큰 차이구분 코인 (Coin) 토큰 (Token) 자체 블록체인 보유OX어디 위에 존재하는가?고유 메인넷다른 블록체인 위예시BTC, ETH, SOL, XRPUSDT, USDC, GALA, GHX, AVL 등예를 들어, 스탯(STAT), 갈라(GALA), 게이머코인(GHX), 아발론(AVL..

며칠 전부터 암호화폐 시장이 강하게 상승하면서, 저는 바이낸스를 통해 듀얼 인베스트먼트(Dual Investment) 상품에 참여했습니다. 보유 중이던 XRP와 이더리움을 High Sell 전략에 예치해 각각 정한 목표가에 팔리도록 설정해두었죠.🎯 목표가 거의 정확히 도달!제가 설정해둔 가격에 정확히 도달하면서 자산이 자동 매도되었고, 덤으로 연 50~77% 이자율 기준으로 6일치 이자를 확보하게 됐습니다.🔒 현재 상태는?오늘은 5월 15일락업은 5월 16일까지,이 기간 동안 내 USDC는 출금도 전송도 불가능하지만 이자는 매일매일 계산되며,16일 오후 5시 기준으로 락업이 해제되어 자산 + 이자를 한꺼번에 수령이 구조는 일반 예치 상품과는 다르게, 조건부 거래 + 이자 수익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

어제 한국 거래소 코빗에서 USDT(테더)를 구매해 제 바이낸스 계좌로 전송했습니다. 모든 게 잘 처리되는 줄 알았는데, 바이낸스에 로그인하자마자 다음과 같은 알림이 떴습니다:“규정 준수 요구사항에 따라, 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스테이블코인은 거래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지금 변환을 완료하세요.”이 메시지를 보는 순간, ‘테더가 규정에 안 맞는다고?’ 솔직히 좀 당황스러웠습니다.메시지 안내에 따라 저는 USDT를 USDC로 변환했습니다. 다행히 같은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이라 가격이나 수량에는 차이가 없었고, 클릭 몇 번으로 완료되었죠. 하지만 계속 마음에 걸렸습니다. "아니, 테더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스테이블코인인데, 왜 바이낸스에서 못 쓰게 하지?" 내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들어간 바이..

어제 저는 USDC(미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를 코빗에서 사기 위해 대기하면서, 동시에 빗썸도 켜놓고 가격을 비교했습니다. 그런데 놀라운 장면이 펼쳐졌어요.코빗: 1 USDC = 1,398원빗썸: 1 USDC = 1,393원무려 5원 차이. 순간 의심했어요. ‘같은 코인, 그것도 미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인데 왜 이렇게 가격이 다르지?’ 하지만 이건 단순한 오류나 문제 있는 가격이 아니었습니다. 바로 슬리피지와 스프레드, 그리고 거래소 유동성 차이 때문이었죠.🔹 스프레드(Spread)란?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 사이의 간격| 매수: 1,393원 ←→ 매도: 1,398원 | → 스프레드 = 5원. 스프레드가 크면, 거래할 때마다 자동으로 손해보는 구조가 됩니다. 유동성 낮은 거래소일수록 이 간격이 더 벌어져..

암호화폐 거래를 하다 보면 자산을 이동시켜야 할 순간이 오죠.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코빗과 연계된 신한은행 계좌가 한도 계좌로 등록되어 있어서, 제가 원하는 금액의 원화 출금이 어려운 상황이었어요. 그래서 평소처럼 다음과 같은 루트를 통해 자산을 이동하려고 했습니다.코빗에서 USDT(테더)를 매수TRON 네트워크를 통해 빗썸으로 전송빗썸에서 원화로 환전국민은행 계좌로 송금몇 번 해본 방식이라 이번에도 별문제 없을 줄 알았는데, 출금 신청 직후 코빗에서 문자가 도착합니다."고객보호 시스템에 탐지되어 출금 심사 중이며, 지연 또는 거절될 수 있습니다."1시간 정도 지나도 여전히 상태는 '출금 대기'. 옆에 있는 물음표 아이콘을 눌러보니 이런 설명이 있더군요."보이스피싱 피해 방지 또는 내부 정책에 따라 최대..

최근 비트코인 콜옵션 시장이 과열된 가운데,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도 고수익 기대가 가능한 알트코인 콜옵션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ETH, SOL, XRP는 현재가 기준으로 저점 구간에 위치해 있어, 단기/중기 반등을 노리는 저위험 고수익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Deribit 거래소에서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콜옵션 조합과, 실제 거래 방법까지 정리해봤어요.🔍 콜옵션이란?콜옵션(Call Option)은 특정 자산을 미래의 일정 시점에 정해진 가격(행사가)으로 살 수 있는 권리입니다. 가격이 오르면 수익, 오르지 않으면 옵션에 쓴 돈(프리미엄)만 손해를 보는 구조입니다. 즉, ‘로또형 투자’로 적은 돈으로 큰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죠.✅ 알트코인 콜옵션 추천 조합 (2025년 5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