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로그(DonLog)

💵 [1편] USDT vs USDC, 디지털 달러의 양대 전선 본문

💰디지털 달러 전쟁

💵 [1편] USDT vs USDC, 디지털 달러의 양대 전선

돈의 향기 2025. 5. 12. 19:00

✅ 같은 1달러지만, 그들이 대표하는 세계는 전혀 다르다

2025년 현재,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히 ‘디지털 캐시’를 넘어 글로벌 금융 질서와 패권의 흐름까지 바꾸고 있는 핵심 자산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시장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흐름은 ‘양대 진영’의 형성입니다.

하나는 시장 중심, 또 하나는 규제 중심.
같은 1달러이지만, 그들이 가는 길은 완전히 다릅니다.


🔹 트랙 1: 실용 중심의 USDT (테더 Tether)

항목 내용
주 사용자층 개발도상국, 제3세계, OTC, P2P 시장
특징 빠르고 싸다 (특히 트론/TRC-20), 유동성 압도적
단점 회계 투명성 부족, 제재 이력, 불투명한 준비금
사용처 바이낸스, OKX, 비트겟, 터키·나이지리아 등 글로벌 실전 거래소
 

👉 실용의 달러

  • 국경 없는 송금
  • 계좌 없이 스마트폰으로 결제
  • 정부의 환율 통제를 우회
  • 자산 도피, 무역 결제 수단

USDT는 이렇게 전통 금융 인프라가 미약한 지역에서 ‘디지털 달러’의 역할을 완벽히 대체하고 있습니다.


🔹 트랙 2: 규제 친화형 USDC (서클 Circle)

항목 내용
주 사용자층 미국·유럽 기관, 은행, 기업, 정부 승인 사용자
특징 월간 감사, 미국 은행 준비금, 규제 기반 신뢰
단점 느리고 전송 수수료 비쌈 (ERC-20 기반), 유동성은 USDT보다 낮음
사용처 코인베이스, 블랙록, 페이팔, 싱가포르 MAS, MiCA 등록 준비 중
 

👉 제도권의 달러

  • ETF 담보 자산
  • 기업 간 정산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백업 자산
  • 신탁 기반의 글로벌 결제용 디지털 달러

USDC는 미국과 서구 금융권이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왜 이렇게 양분되었을까?

🛠 기능적 이유:

  • USDT: 속도와 수수료가 중요 (TRC-20)
  • USDC: 규제, 회계, 감사가 중요 (ERC-20)

🌍 지역적 이유:

  • USDT: 암호화폐를 실전에서 '화폐'로 쓰는 나라 중심
  • USDC: 암호화폐를 '금융 상품'으로 다루는 국가 중심

🧠 철학적 이유:

  • USDT: 시장에 맡긴다 (탈규제, 자율)
  • USDC: 시스템으로 통제한다 (법률, 회계, 공시)

🧭 한눈에 비교

구분 USDT USDC
중심 가치 실용성과 접근성 신뢰성과 규제 적합성
발행사 Tether Limited (홍콩 기반) Circle (미국 보스턴)
유통 기반 트론, 이더리움, 솔라나 등 주로 이더리움 (ERC-20)
규제 대응 미흡 (과거 제재 이력) 적극적 (SEC/Fed 등 협력)
시장 점유율 약 70% 이상 (2025년 기준) 약 20% 수준

📌 디지털 달러는 하나가 아니다

지금 세계는 하나는 ‘현장에서 쓰는 달러’, 또 하나는 ‘규제를 통과한 달러’를 동시에 보고 있습니다.

  • USDT는 “현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디지털 달러”
  • USDC는 “가장 신뢰받는 디지털 달러 후보”

이 두 가지가 공존하는 시대, 우리는 단순히 “스테이블코인”이 아닌 디지털 달러 패권의 이중 구조를 목격하고 있는 것입니다.

📌 다음 글에서는, 규제형 스테이블코인에서 핵심 역할을 하려는 플레이어, 바로 리플(Ripple)의 전략과 야심에 대해 알아봅니다.
👉 2편: 리플의 야심 – 제도권 달러를 장악하려는 그들의 전략